뉴스를 들어보면 당대표와 원내대표란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겁니다. 그 차이점을 많이들 궁금해 하셨을텐데요
지금부터 아주 간단하게 그 차이를 설명해드리겠습니다.
1. 당대표란?
당대표란 당의 실질적 최고 권한을 가지고 있는 당의 최고 수장을 말합니다. 예를들어서 현재 각 정당의 대표들을 살펴보겠습니다. (더불어민주당 : 이해찬, 자유한국당 : 황교안, 바른미래당 : 손학규, 민주평화당 : 정동영, 정의당 : 이정미, 민중당 : 이상규, 대한애국당 : 조원진)
즉 정당에 소속된 모든 당원들의 대표를 당대표라 합니다. 당의 구성원은 당대표, 원내대표, 국회의원, 전국회의원, 일반당원, 사무직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모든이들의 대표가 당대표 인 것 입니다.
2. 당대표의 선출과정 및 임기기간 그리고 권한
당대표의 선출은 당의 전당대회를 열어 경선을 통해서 선출하게 됩니다. 당의 국회의원들 뿐만 아니라 국회의원이 아닌 일반 당원 모두에게 투표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며 이렇게 선출된 당대표의 경우 2년이라는 임기기간도 얻게 되며, 공천권 등 막강한 힘을 갖게 됩니다.
3. 당대표는 월급
당대표는 개별적으로 받아가는 월급이 없습니다. 이유는 당대표는 명예직으로서 월급이 따로 없고 약간의 판공비를 지불받게 되며 당대표로서 필요한 경비는 당에서 지불을 합니다.
출처 : 매일경제 (https://www.mk.co.kr/news/politics/view/2018/08/534461/)
4.원내대표란?
- 원내대표는 정당에 소속된 국회의원들의 대표를 말합니다. 따라서 당의 국회의원들을 통솔하여 의원들의 의견을 하나로 통일 시키고, 때로는 다른 단체와 교섭을 하기위한 창구 역할을 하는 것이 원내대표의 업무입니다.
5. 원내대표 선출과정 및 임기기간
- 원내대표의 선출과정은 당의 경선을 통해서 선출하게 되고 원내대표의 임기기간은 1년입니다.
6. 당대표와 원내대표의 차이점은?
- 당대표의 경우 당원 모두가 참여하는 경선을 통해서 선출이 되지만 원내대표의 경우 당소속 국회의원들의 투표에 의해서만 정해진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.
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
'쓸모있는 정치&시사 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연동형 비례대표제란? (쉽게 정리해드립니다, 준연동형비례대표제 설명포함) (0) | 2020.02.14 |
---|---|
상원의원과 하원의원 차이(각각 역할 및 선출과정) (0) | 2020.02.11 |
비례대표란 무엇인가? (뜻, 선출과정, 의석수, 비례대표의 이유 정리) (1) | 2020.02.10 |
필리버스터란? (기원, 뜻, 최장시간, 장단점 싹 정리) (0) | 2020.01.10 |
총선이란 무엇일까요? (2020년 총선정보 알려드립니다) (0) | 2020.01.08 |